무(戊)토는 편인의 성향
편인, 정인은 십신의 하나로 오행(목, 화, 토, 금, 수)의 상생상극 관계를 음과 양으로 세분화하여 인간 삶의 구체적인 모든 요소로 표현할 수 있게 정리한 것입니다. (이 부분은 따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편인은 나를 채워주는 힘이지만,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나를 채워주는 기운입니다. 균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 것이지만 한쪽으로 기울었기에 독특하거나 창의적인 발상을 많이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발상은 세속적인 가치와 상관이 없는 쪽으로 관심을 많이 가집니다.
무(戊)토와 편인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1. 창의성:
- 넓은 범주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생각의 씨앗을 가지고 독특하고 창의적인 발상을 많이 합니다.
- 드넓은 정신적 영토를 방황하는 기운에서 특수한 정신적 에너지를 발현합니다. 근원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2. 과감성:
- 독특하고 창의적인 발상을 토대로 다른 사람들이 쉽게 하지 못하는 일이나 행동들을 합니다.
- 순간적으로 힘을 쓰는 일에 최저고하 되어 있고, 극단적인 게으름을 보이다가도 한 번 움직이기 시작하면 폭발적으로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3. 보호적인 성향:
- 보호적이고 안정된 에너지로 다른 사람들을 돕고 이끌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己)토는 정인의 성향
정인도 편인과 마찬가지로 나를 채워주는 힘입니다. 정인은 나의 부족한 부분을 알아서 채워주는 기운입니다.
기(己)토와 편인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1. 안정성과 실용성 :
-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려는 특성을 가집니다.
- 창의적인 발상보다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모범적인 답안과 공동체의 규범을 따르는 성향을 보입니다.
2. 지혜와 학문적 성향 :
- 학문적이고 지적인 분석적 성향을 가집니다.
- 문제해결에 있어 신중하게 고민하고 계획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3.자애와 포용력 :
- 자신의 사람을 돌보는 자애롭고 인자한 특성을 가집니다.
- 절대적인 사랑과 도움을 주려는 강한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정직성과 고집 :
- 예의와 품위를 중시하고 고상한 인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자신의 것을 고수하려는 이기적인 성향도 있습니다.
십신 알아보는 방법
일단, 십신을 알아보기 위해 각 오행에 해당하는 천간과 지지를 구분합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1번 칸에 오행에 해당하는 글자를 넣었을 때 3번에 해당하는 글자들과의 관계를 재성(財星)이라고 하고, 양과 양 또는 음과 음 글자 간의 관계를 편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번에 (천간과 지지 상관없이) 양의 목이 왔다면 3번에 양의 토가 왔을 때 편재, 음의 토가 왔을 때 정재입니다.
ex 1) 1번 양의 갑(甲)목(천간)이나, 인(寅) 목(지지)
=> 3번에 천간의 양의 토인 무(戊), 지지의 양의 토인 진(辰)과 술(戌)과는 편재.
=> 3번에 천간의 음의 토인 기(己), 지지의 음의 토인 미(未)와 축(丑)과는 정재
ex 2) 1번에 음의 정(丁)화(천간)이나, 사(巳)화(지지)
=> 3번에 천간의 양의 금인 경(庚), 지지의 양의 금인 신(申)이 오면 정재
=> 3번에 천간의 음의 금인 신(辛), 지지의 음의 금인 유(酉)가 오면 편재
* 현묘의 사주명리학 공부에서 많은 부분을 참고하였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庚)금은 관리자(비견), 신(辛)금은 의사(겁재) (0) | 2025.03.25 |
---|---|
금의 양과 음 - 경(庚)금와 신(辛)금 (천간) (0) | 2025.03.24 |
토의 양과 음 - 무(戊)토와 기(己)토 (천간) (4) | 2025.03.18 |
병(丙)화는 정치인(편관), 정(丁)화는 심리상담가(정관) (0) | 2025.03.13 |
화의 양과 음 - 병(丙)화와 정(丁)화 (천간)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