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에세이

같은 사주를 가진 쌍둥이가 닮은 듯 다른 삶을 사는 이유는 - 삶의 프레임이 다른 이유

by 1-morestep 2025. 4. 2.
728x90
반응형

쌍둥이의 삶은 왜 다르지?

사주명리를 공부하면 꼭! 언급되는 내용이 있습니다. 바로 같은 사주를 가진 쌍둥이가 왜 다른 삶을 사느냐입니다. 

 

거의 같은 시간에 태어난 쌍둥이라면 그들의 사주는 완전히 같을 것입니다. 

같은 사주를 가졌다는 말은 쉽게 말해 같은 재료 - 성향, 기질, 대운 등 - 들을 가지고 태어났음을 의미합니다. 

 

같은 재료를 가지고 태어난 쌍둥이 사주

 

부모님들은 쌍둥이 아이들에게 최대한 비슷한 환경, 비슷한 애정을 주면서 잘 키우려고 애쓸 것입니다. 

여기서 쌍둥이가 가진 같은 재료로 다른 모습의 삶을 살아가는 이유가 이해가 됩니다.

 

1. 똑같은 조건이 아닌 비슷한 조건이라는 것

2. 같은 성향의 사람이라도 조금씩 다른 경험치

3. 누적된 경험치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다른 자신만의 프레임(Frame)

 

삶의 프레임(Frame) = 선택적 주의 or 확증편향

삶의 프레임(Frame)은 인지심리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표현입니다. 

어떤 프레임을 통해 세상에 접근하느냐에 따라 삶으로부터 얻어내는 결과물들이 결정적으로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상의 프레임으로 자신의 삶을 재무장하겠다는 용기, 나는 이것이 지혜의 목적지라고 생각한다.
프레임 - 최인철 박사

 

우리의 뇌는 경험을 인지하고 저장했다가 같은 사건이 반복되었을 때 동일한 반응과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 최적으로 진화했습니다. 잘못된 결론을 발견하고 줄이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과거에 경험하고 믿고 있는 방향으로 패턴을 찾아내고 신념이나 판단을 강화하는 방향에 관심을 더 가지는 것이죠.

 

그래서 세상을 바라보고 대하는 방식 즉 관점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똑같은 내용을 보고 들었다해도 나중에 자기가 듣고 싶은 말과 기억하고 싶은 내용만 기억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이를 선택적 주의 또는 확증편향이라고 말하기도 하며, 누구나 확증편향을 가지고 있음을 아래의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한 번 해보시겠습니까? 

 

 

흰 셔츠를 입은 사람들이 몇 번 패스를 하는지 세어보세요. 

 

어떻습니까? 우리가 보고 듣고 기억하는 것들이 모두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는 것들이 느껴지시나요? 

 

사람은 기계나 로봇이 아니기에 똑같은 사주를 타고 났다고해서 똑같은 모습의 삶을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이 이해가 되시나요?

같은 사주를 가지고 태어난 쌍둥이라고 해도 닮은 듯 다른 삶을 사는 이유입니다. 

 

그럼, 사주를 통해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냐? 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를 통해 우리가 알아가야 하는 것

사주공부를 시작하고, 이해를 하기 위해 노력중에 있는 제가 섣불리 이렇다, 저렇다 확답을 내리는 것은 아직까진 완숙하지 못한 입장에서 굉장히 조심스러운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분명히 공부를 이어가면서 느끼는 것은 있습니다. 

 

사주공부를 통해 나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키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50년이 넘는 인생을 살아오면서 느꼈던 많은 시련과 슬픔과 고통들, 또 한편으로 가질 수 있었던 기쁨과 만족의 순간들은 결국 내가 가지고 태어난 재료들을 가지고 다듬고 갈고닦으며, 각각을 이어서 지금의 '나'라는 형태를 만들어 온 과정이었습니다.  

 

한 때 유행했던 혈액형별 성격 분석, MBTI를 통한 유형분석 등은 우리가 얼마나 스스로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지를 보여주는 사회현상이자 결과입니다. 그리고 이는 결국 타인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현실에서 내가 그들과 어떻게 어우러져 살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의 반영이기도 합니다. 

 

우리의 역사속에서 꾸준히 명맥을 이어온 사주명리학은 - 단체 생활을 시작한 이후로 사람들은 자신을 알고, 타인을 알아 그 어우러짐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왔고 - 오랜 시간의 탐구와 검증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방법의 하나로 인정받고 발전되어 우리의 삶 속에 뿌리내린 실증철학이자 과학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사주명리를 통해 우리가 알아가야 하는 것은

1. 내가 이 세상에 발을 내딛을때 어떤 재료들을 가지고 태어났는지

2. 이 재료들을 헛되게 사용하지 말고 어떻게 잘 활용하여 내 삶이라는 조각을 좀 더 멋지게 완성할지

3. 세상 사람 모두가 각자의 재료들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각자의 프레임을 만들어가기 때문에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함께 어우러지는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이들은 땀을 흘리며 일할 때 행복하고, 삶의 보람을 느낀다고 합니다. 반면에 어떤 이들은 노래하고 춤출 때 행복하다고 합니다. 이는 각자가 가진 재료들이 다르기 때문이고, 이렇게 각자의 재료들을 잘 활용해서 살아가는 것이 행복한 삶을 만드는 필수조건일 것입니다. 억지로 타인들이 재단한 길을 따를 이유는 없는 것이죠. 

 

각자가 가진 팔자대로 살아가면 행복합니다.  

각자가 가진 팔자를 제대로 알고 잘 활용하면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내 팔자 제대로 알고 더 행복하게 살아보는 건 어떨까요? 

 

* 팔자(八字)는 년주, 월주, 일주, 시주 각각 2자씩을 합쳐 8자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